본문 바로가기
음식정보

필수 아미노산 트립토판 많은 음식

by ★☆△○☆★ 2021. 8. 14.

음식의 효능 중 트립토판 성분 때문에 '불면증에 좋다', '우울증에 좋다'라고 하는 것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진짜 트립토판 때문일까요? 필수 아미노산으로 알려진 트립토판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어떤 음식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지 살펴보시죠.

필수 아미노산 트립토판 성분

아미노산이 합성이 되면 우리 몸의 매우 중요한 성분인 단백질이 됩니다. 단백질은 우리 몸의 각종 호르몬, 근육, 신경전달물질 등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으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영양분입니다. 이러한 단백질 중에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을 생성하는 전구물질이 바로 필수 아미노산 트립토판입니다.

 

트립토판 역할, 기능

트립토판은 세로토닌의 원료로서 사용되며 세로토닌은 사람의 뇌의 신경전달 물질로 사람의 감정, 학습력, 집중력에 관여합니다. 세로토닌 호르몬이 감소하게 되면 감정 기복이 심해지고 집중력이 저하되기도 하죠. 또한 세로토닌은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을 생성하는 물질로 사용되어 부족하면 불면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트립토판은 체내에서 스스로 생성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이나 영양제로 외부에서 섭취를 하여 보충해주어야 합니다.

 

트립토판을 음식으로 섭취를 해주어야 하는 이유

체내에서 세로토닌 단백질이 분비되어 작용을 끝나게 되면 시냅스 쪽으로 흡수가 됩니다. 이러한 세로토닌이 부족할 때 약리적 방법이 존재하는데 이 약리적 원리가 크게 2가지입니다.

  • 작용이 끝난 세로토닌은 시냅스로 흡수가 되는데 흡수를 억제하는 약리적 방법
  • 세로토닌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약리적 방법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약을 섭취했을 때만 효과가 발휘되는 것입니다. 근본적인 세로토닌의 양을 늘려주지는 못한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세로토닌을 생성하는 트립토판을 음식으로 섭취를 해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트립토판 많은 음식

트립토판은 아미노산의 일종입니다. 아미노산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아미노산 함량이 높다고 해서 트립토판이 많이 함유된 것은 아닙니다.

멸치 바나나 돼지고기 사진
트립토판 많은 음식

1. 바나나

우울증과 불면증에 좋다고 알려진 바나나 역시 트립토판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칼슘, 항산화 성분, 비타민 등 각종 다양한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어 운동하는 분들이 즐겨 찾는 과일이죠

 

2. 돼지고기

돼지고기에는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에 트립토판 함량이 100g 당 약 250mg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3. 멸치

멸치는 칼슘이 많은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트립토판이 다량 함유되어 있습니다. 100g당 860mg 정도로 매우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우유 치즈 귀리 사진
트립토판 음식

4. 우유

밤에 잠이 오지 않으면 따뜻한 우유가 좋다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우유에는 트립토판뿐 아니라 멜라토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5. 귀리

다이어트에 좋은 슈퍼푸드인 곡물로 귀리가 잘 알려져 있는데 귀리에도 트립토판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트립토판 많은 음식을 먹어도 효과가 없다?

트립토판이 많은 음식을 먹었는데도 효과가 없다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트립토판이 세로토닌이 되고 멜라토닌을 생성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러한 변환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이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1. 햇빛

트립토판의 전환에는 햇빛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아침에 트립토판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고 햇빛을 충분히 받아야 세로토닌이나 밤에 멜라토닌 생성이 충족이 되는 것입니다.

 

2. 탄수화물 섭취

트립토판의 전환은 뇌에서 이루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섭취는 하였는데 뇌로 이동을 하지 못한다면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겠죠? 아미노산은 혈액을 통해서 뇌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탄수화물을 많이 섭취하게 되면 트립토판이 혈액에 흡수가 되지 않아 뇌로 이동을 못하게 됩니다.

 

쉽게 예를 들면 버스를 타고 목적지까지 가야 하는데 버스에 탄수화물이 모두 타버려서 자리가 없어 타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트립토판 부작용

트립토판을 과도하게 섭취하게 되면 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하루 권장 섭취량은 0.5g 정도로 섭취하시면 됩니다.


트립토판은 필수 아미노산으로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성분입니다. 하지만 좋은 성분을 섭취하는 것만으로 좋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모든 영양성분과 몸의 기관은 유기적으로 얽혀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 부분만 보충하고 섭취한다고 해서 건강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이 글에서 설명드렸다시피 우울증이나 불면증 개선을 위해서 트립토판의 보충은 필요하지만 섭취한 영양성분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생활습관과 식습관의 변화도 필요하다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댓글